동충하초 효능 영양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방법
동충하초란?
동충하초는 겨울엔 곤충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타난다고 해서
일종의 버섯입니다.
동충 하초 곰파잉의 일종인 동충하초 군이
살아있는 곤충의 몸속으로 들어가 발생하는
곤충기생성약용버섯으로 동물성 기주와
식물성 자실체로 동물성과 식물성이 같이
존해하는 신비한 버섯이라고 합니다.
동충하초가 기생하는 곤충은 벌, 개미,
잠자리, 나비, 매미, 노린재, 딱정벌레
파리, 거미 등입니다.
이것들의 알, 유충, 번데기, 성충에 침입해
땅속이나 죽은 나무 등에서 자라 발견됩니다.
나방류 번데기 속에 기생하여 내생균핵을 형성
성장하면 번데기 밖으로 자라서 곤봉형 또는
여러가지 모양의 자좌를 형성하는 버섯이라고 해요
몇mm에서 크기가 큰 것은 10cm로 붉은색,
황색, 녹색, 검은색, 오렌지색, 올리브색으로
다양합니다. 자좌의 길이는 3cm ~ 10cm 정도
원통형이며 등황색을 띠고 기부로 갈 수록
옆어진다고 합니다.
자실층은 자실체 상부에 있으며 하부의
대와 경계가 불분명하다 포자 모양은 원주상
방추형이라고 합니다. 공기가 깨끗하고
공중습도가 높으며 적당한 나무 그늘이 있는
곳에서 발견된다고 해요 다양한 기주만큼
다양한 생육환경을 가지고 있으나 보통
낮은 지대의 활엽수림대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발견된다고 합니다. 장마철 즈음에
잘 발견된다고 해요
동충하초균에 감연된 곤충은 버섯이
나온기 전까지 죽어도 썩지 않고 미라 처럼
형태를 유지한다고 합니다.
중국 청나라 본초중신에서 중국의 박쥐 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버섯을 불로장생의 명약이라
언급했다고 하는데요 이천 천연 박쥐 나방 애벌레
동충하초는 티베트, 네팔, 히말라야, 중국 사천
청해, 귀주 등 해발 4,000m 정도의 고산 지대에서만
채취되는 희귀하고 귀한 약재라고 해요
동충하초 효능 영양성분
인삼, 녹용, 동충하초 3대 명약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다른 식물성으로 구성된
버섯들과 달리 동물성 기주와 식물성 자실체로
동 식물성이 같이 함유하고 체질에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식용뿐 아니라 식물의 배양액으로 식물
생장을 촉진하고 해충 방제에도 효과가 있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해요
동충하초에는 지방 8.4% 단백질 25.3%
탄수화물 28.9% 조섬유 18.5% 회분 4.1% 등
함유하고 있고 코디세핀이란 성분이 있는데
이것은 연쇄상구균과 탄저균, 돼지의 출형성
패혈증균 및 포도상구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요을 해준다고 합니다.
동충하초는 기관지에 좋고 아드레날린 작용을
증가시켜 신장 기능을 도와주고 기운을 보강해주고
기침과 가래에 효과적이라고 해요
빈혈 각혈 식은땀 기력저하에 의한 발기장애
허리나 무릎관절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마약중독의 해독제로 사용하기도 하고 체력 소모시
회복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해서 중국 육상 선물들이
효과를 봤다고 하네요
동충하초의 밀리타린 등의 생리 활성 성분들이
항암효과, 면역 증강, 항피로 작용을 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충하고 고르는 법
버섯 균이 꺠끗하고 이물질이 없는 것으로 선택하세요
버섯 고유색이 짙은 것, 배지(버섯 밑동)의 균막이
밝고 얼굴이 없는 것 자실체 발이수가 양호하고
버섯이 부서지지 않은 것이 가장 좋고 밝은 색일수록
저장기간이 오래되었거나 보관상태가 불량한 것이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충하초 손질법
동충하초는 살아 있는 상태로 비닐통에 넣어
포장하여 판매하나 재배한 것은 자실체만
잘라 판매합니다. 요리에 사용할 경우 채반에
받쳐 흐르는 물에 살살 씻고 요리해주시면 됩니다.
동충하초 보관방법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지만
배지에서 버섯 부분을 떼어 내 지퍼백에 넣고
내장보관하면 한 달 정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 후 체중 관리 하는법 (1) | 2024.09.30 |
---|---|
치콘 효능 영양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방법 (0) | 2024.04.09 |
싸리버섯 영양 효능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방법 (0) | 2023.12.27 |
송고버섯 효능 영양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방법 (0) | 2023.12.04 |
노루궁뎅이버섯 효능 영양 고르는법 손질법 보관방법 (1) | 2023.12.01 |
댓글